본문 바로가기

지리학/한국

(3)
한국 지리학의 발달 조선후기(3탄) 조선 후기 지도 개발의 핵심 중 하나는 지도 배포였습니다. 지도책의 발달은 읍지의 편찬과 때를 같이하고 도별전도(道別全圖)와 부·군·현도를 모아 지도책으로 만든 것과, 천하도로 불리는 세계지도·중국도·일본도·유구국도·팔도총도·도별도 들로 구성된 일반용 지도책이다. 후자는 그 내용이 다양하고 목판본과 필사본이 있으며 현전하는 수량으로 보아 널리 보급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1876년 한일조약부터 1910년 한국병합까지 근대대학은 교과서를 통해 서양지리학을 도입했다. 지리학은 오래 전부터 폐쇄적인 정책을 취해왔기 때문에 사람들의 국제적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95년 이후 학칙과 학칙이 공포되자 학원편찬국은 정선사(1895년)와 초학세계 지지(1895년)와 조선어(..
한국지리학 발달(2탄)-조선시대 조선시대의 지도제작 사업은 세종대에 천체관측을 위한 간의(簡儀)와 천문용 시계에 해당하는 혼천의(渾天儀) 사용이 가능해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세종 9년(세종 9년)에 양성로와 정안 등의 이름으로 세종 이후의 지도 제작 작업이 정부에 제출되었다. 이 지도는 100만분의 1의 작은 규모로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지도다. 조선 후기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18세기 중엽으로 나뉘었다. 지도는 정확하고 자세하게 산과 여름을 표시하여 교통로, 봉수, 군현, 막사, 수영 등을 기록하고 있다. '대동지지'의 저자 김정호는 1834년 '청구도'를, 1861년 '대동여지도'를 출간했다. 전자는 상하2권, 후자는 22첩의 절첩 형식으로 되어 있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同一路)는 16만분의 1의 대규모 지도로 평상시..
한국지리학의 발달은 어떻게 했을까?(1탄)-관찬지리지 우리나라의 전통 지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리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근대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지리와 지도화는 주로 특정 지리적 정보를 기록하고 축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지리적 지역은 정부출연토지와 민간출연토지로 구분되었다. 고려시대 삼국지의 지형을 편찬한 것을 시작으로 북한 전역에 남조선 정부가 지원하는 지형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리학은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1945년 이후에야 성립되기 시작했다. 고려사의 지리적 특징은 조선 초 '편찬'으로 편찬되었고, 1432년(세종 14)에 신기도사가 완공되었다. 『지리신문』은 조선왕조의 지리 편찬을 보여주는 사례로 『세종의 성』으로 발간되었다. 지리편찬사업은 국가 거버넌스에 없어서는 안 될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